본문 바로가기

핑빛의 유용한 세상이야기

ESS란 무엇인가,에너지 저장장치 ESS, 전력 저장의 핵심 기술 ESS

728x90
반응형
SMALL

 

아침 신문을 보다 궁금한점이 생겨서 공부해본 내용이에요.

ESS(에너지 저장장치)에 관련한 기사였는데, ESS가 무엇인지, 어떤 사업인지 저처럼 궁금하신분들 위해 간략하게 설명드려볼께요.

 

 

 

ESS는 (Energy Storage System(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약자입니다.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꺼내 쓰는 시스템이라는 것인데.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전기 저장 장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신문기사내용은 우리나라 기업인 LG에너지 솔루션이 어제 15일에 일본, 유럽 여러업체와 총 5조원이 넘는 ESS용 베터리 납품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기사 내용이에요. 그동안 ESS 진출이 늦어 중국에 밀려 기회조차 없었던 LG에너지솔루션이 품질과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세계적으로 에너지 저장시스템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 ESS가 왜 중요할까?

 

재생에너지 확대와 ESS의 핵심 역할.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는 미래 에너지 전환의 핵심이지만, **간헐성(intermittency)**이라는 구조적 한계도 가지고 있죠.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입니다.

 


1. 재생에너지의 특징: ‘불규칙한 생산’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는 날씨나 환경에 따라 출력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요.
이런 불안정한 공급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력망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정전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요.
그래서 남는 전기를 ESS에 저장했다가, 해가 없을 때 쓸 수 있습니다. 

2. 전력 수급 안정화
전력 사용이 몰리는 시간대(피크타임)에 ESS를 사용하면 정전 위험 줄이기 가능합니다.

3. 전기요금 절감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충전하고 비싼 시간대에 사용해 비용 절감이 가능해합니다.


📌ESS 구성요소

● 배터리: 전기를 저장하는 핵심 (리튬이온 배터리가 일반적)
● PCS (전력변환장치): 교류/직류 전환
● EMS (에너지관리시스템): 충방전 스케줄 관리
● 냉각 시스템 / 안전장치 등



📌 관련 산업 전망

● 2차전지 기술 발전과 연계 →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수혜
● ESS 수요 급증 → 태양광 발전소, 데이터센터, 공공기관 등 설치 확대
● 안전성 확보 중요 → 화재 리스크 관리 및 규제 강화


재생에너지의 불규칙한 공급을 보완하는 필수 인프라인 ESS.
전 세계 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서 ESS의 역할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지네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