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부모는 다양한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출산을 앞두고 준비하려고 하면 헷갈리는 제도들이 많죠. 이번 글에서는 출산 전후 휴가부터 육아휴직,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까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볼께요.

👶 출산 전후 휴가,출산전후휴가급여
대상: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기간: 총 90일 (출산 전 45일 + 출산 후 45일)
- 단, 다태아(쌍둥이 이상)는 총 120일 (출산 전 45일 + 출산 후 75일)
급여:
- 고용보험 가입자는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가능
- 통상임금 100% (상한 2025년 기준: 월 최대 200만 원, 하한 70만 원)
신청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워크넷 통해 신청 가능

🍼 육아휴직,육아휴직급여
대상: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
기간: 자녀 1인당 최대 1년 (부모 각각 사용 가능, 동시에 사용도 가능)
💰 육아휴직급여 (고용보험)
- 첫 3개월: 통상임금의 80% (상한 월 150만 원, 하한 70만 원)
- 4개월~12개월: 통상임금의 50% (상한 월 120만 원, 하한 70만 원)
🧑🤝🧑 부모가 순차로 사용 시 두 번째 사용자는 첫 3개월 동안 최대 200만 원까지 지급되는 ‘육아휴직 아빠넷(3+3)’ 제도 적용 가능
💳 부모급여 (2025년 기준)
대상: 만 0~1세 영아를 둔 가정 (모든 가정 해당, 소득 무관)
지급 금액:
- 만 0세 (출생 ~ 12개월): 월 100만 원
- 만 1세 (13개월 ~ 24개월): 월 50만 원
- ※유의사항: 출생일 기준 최대 60일 이내 신청하지 않으면 그 이전 금액은 소급되지 않으니 기억하세요!
- ※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로 대체 지급 가능
- 신청서류: 아동과 보호자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통장사본,대리신청시 (위임장)
신청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출생 신고 후 신청
👨👩👧 양육수당
대상: 어린이집/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
지급 금액:
- 0~11개월: 월 30만 원
- 12~23개월: 월 15만 원
- 24~35개월: 월 10만 원
- (단, 중복 지급 불가 — 부모급여를 받는 경우 양육수당은 지급되지 않음)
🎁 아동수당
대상: 만 8세 미만 (만 0~95개월) 모든 아동
지급 금액: 월 10만 원 (소득, 재산 관계없이 전 계층 지급)
신청 방법:
-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아동수당 신청
- 최초 1회 신청하면 자동 지급
✅ 요약 정리
항목
|
대상
|
기간/나이 기준
|
금액
|
출산전후휴가
|
임신 여성 근로자
|
출산 전 45일 + 후 45일
|
통상임금 100% (상한 月 200만 원)
|
육아휴직
|
근로자 (부모 각각 가능)
|
자녀 1인당 최대 1년
|
첫 3개월 80%, 이후 50%
|
부모급여
|
만 0~1세 아동 부모
|
0세: 100만 원, 1세: 50만 원
|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대체
|
양육수당
|
어린이집 이용 안 함
|
최대 36개월까지
|
월 10~30만 원
|
아동수당
|
만 8세 미만 아동
|
출생~95개월
|
월 10만 원
|
출산과 육아는 기쁜 일이지만 경제적 부담도 만만치 않습니다. 정부에서는 다양한 제도를 통해 부모의 육아를 지원하고 있어 제도를 잘 활용하면 육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출산 전후와 육아 초기엔 꼭 꼼꼼히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핑빛의 유용한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 6+6 부모 육아휴직제 신청 방법, 신청대상 총정리. (0) | 2025.05.16 |
---|---|
중년 넘으면 꾸준한 운동 중요한 이유 (0) | 2025.05.15 |
자동차보험 싸게 드는 방법.자동차 보험 할인팁. (1) | 2025.05.03 |
돈을 부르는 습관, 워런버핏에게 배우는 부자의 생각법 10가지. (1) | 2025.05.03 |
자녀장려금 신청조건, 자녀장려금 신청기간 2025, 자녀장려금 신청방법, 자녀장려금 최대 100만원 지급,근로자녀장려금 총 정리! (2) | 2025.05.02 |